
map(요소 , 인덱스 , 배열전체) 순회 메서드→ 원본 안바뀜 주어진 배열의 값을 재정의 할 때 사용하는 방법ECMA에는 "주어진 배열의 값들을 인덱스의 오름차순으로 접근해 callbackfn을 통해새로운 값을 정의하고 신규 배열을 만들어 반환한다"라고 정의됨.배열을 순회하면서 공통된 작업을 할때, 사용함.map 의 인자를 콜백함수를 통해 함수를 넣어줌.인자로 사용되어지는 함수를 콜백함수라고 함.(1급함수라고 함.)객체의 메서드는 인자가 될수 없고 1급함수가 아님.자바스크립트는 함수를 많이쓰기에 함수형 언어다 라고 볼 수 있다. document.write("** 원본 money=> " + money + ""); result = money.map(m=> m+ m*0.1); ..

생성 reverse() sort() concat() slice() join() shift()/unshift() pop()/push()자바스크립트의 내장된 코어객체중 Array 객체를 많이 쓰게 될것이다.배열은 데이터 저장을 하기 위해 사용되고 , 데이터를 컨트롤 하기 위해 자주 사용된다.주요 메서드들을 살펴보되 , 반환되는것이 어떻게 되는지 주의깊게 본다면 , 추후에 체이닝을 이용하기 편할것이다.체이닝 : 메서드들을 연결해서 나열하여 사용.생성 / 초기화 1) 생성 후 초기화let names = new Array(); names[0] = "홍길동"; names[1] = "김길동"; names[2] = "이길동"; names[3] = ..

window 객체란.열려있는 브라우저 윈도우나 탭 윈도우의 속성을 나타냄. window 객체 생성 1. 브라우저가 새로운 웹페이지를 로드2. 태그당 하나의 window 객체를 생성iframe 이란 ? html 내에서 문서의 주소를 연결해 내부적으로 보여주는 태그.a 태그는 외부에 있는 주소를 연결해 새화면을 보여주는것과 달리iframe 은 내가 원하는 부분내에 외부문서를 보여주게 공간을 할당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Header footer 3. 자바스크립트 코드로 윈도우 열기시 window 객체를 생성. (window.open(url주소 , 이름 , 속성)) window 관련 속성윈도우 전체 크기 , html문서 크기 , 스크롤바 등의 속성을 자주 사용하게 될것이다. window 객..

html을 배운 우리는 부모의 자식관계를 알고 있다.이어이어 본다면 큰 트리구조를 이루고 있음도 그려낼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에서 html 의 태그값을 가져오기 위해우리는 아무렇지 않게 이렇게 쓰고 있었다.let i = document.getElementById("image");: id 가 imge 인 태그를 가져오기 위한 i 의 선언이였다. 이 즉슨 태그들을 트리구조화 되어있는 상황의 객체화 하여, 트리의 가지 (노드)값을 찾는 구조였다.즉 부모 객체 를 타고 자식 객체를 타고 자식자식 객체를 타고 찾는 구조라 함을 알 수 있다.객체란 무엇이었을까 ? 크게 두가지로 구성되어 있었다.1. 속성 property : 값 value2. 객체 속 함수 method : 동작 객체 자바스크립트는 객체 지향언어라고..
변수 선언 let, const, var구문을 이용한 변수의 선언 호이스팅( Hoisting )의 의미 호이스팅이란 컴파일 과정에서 선언 및 정의 위치와 관계 없이변수나 함수의 선언 및 정의부를 코드의 최상단으로 끌어 올리는 것을 의미하는데,변수나 함수의 선언은 컴파일 단계에서 메모리에 저장되지만 실제 물리적 코드의 위치가 변경되어 저장되는 것은 아님. 스코프( Scope ) (범위를 말함.) 함수 스코프( var구문 )- 함수 외부에서 선언된 변수는 전역변수로함수 내부에서 선언된 변수만 지역변수로 인식하여,일반적인 블럭 스코프에서는 전역 변수로 인식. 블럭 스코프( let, const구문 )- 변수가 선언된 블럭, 구문, 표현식 내에서 유효한 범위를 가지는 지역변수로 인식되며, var과 달리 중복 선언 ..
string.trim(): string문자열의 양쪽 공백 제거. 문자열 양쪽 끝의 공백을 제거한 새로운 문자열을 반환. 여기서 공백은 space, tab, NBSP, 개행문자(\n).string.trimStart(): stringstring.trimEnd(): string양쪽 끝의 공백제거를 주로 쓰지만, 앞과 뒤를 따로 사용할 수도 있다.const str1 = ' Removes Whitespace from\n';const str2 = 'both ends of a String';console.log(str1);console.log(str1.trim());console.log(str1.trim() + str2); 영어 대소문자의 변환string.toLowerCase(): string string.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