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EP 257은 파이썬 개발자 가이드 일부로 작성된 문서로,docstring의 고수준 구조를 표준화하기 위한 문서이다.docstring을 사용하여 파이썬 코드를 문서화하기 위한 규칙, 모범사례, 의미론을 알아보자.docstring 에는 무엇이 포함되어야 할까?docstring 은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 ?docstring이란 무엇일까?모듈, 함수, 클래스 또는 메서드 정의의 첫번째 문장으로 나타내는 문자열 리터럴이다.이러한 docstirng 은 해당 객체의 __doc__ 특수 속성이 된다.다시 말해 dicstring은 클래스, 모듈, 함수, 메서드 정의에 사용되는 파이썬 문서화 문자열이며,보다 큰 코드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인 방식으로 제공한다.이러한 코드는 작성자를 포함해 해당 코드를 읽는 모든 프..
PEP 8앞에서 언급햇듯, PEP8은 파이썬 코드 스타일 가이드를 제공하는 문서이다. 2025.06.24 - [Developer/Python] - [python] PEP , PEP 20 (The Zen of Python) [python] PEP , PEP 20 (The Zen of Python)PEP란 ?Python 프로그래머라면 언어 표준을 간략히 설명하고 Python과 관련된 많은 변경 사항과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들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를 찾을 것이다.PEP는 수백개가 넘을 정도로 그 수가radaonmommy.tistory.com PEP8은 가장 중요한 PEP 중에 하나로 여겨지며, 모든 전문 파이썬 프로그래머라면 꼭 읽어야 할 문서이다.이 문서는 코드의 일관성, 가독성, 효율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PEP란 ?Python 프로그래머라면 언어 표준을 간략히 설명하고 Python과 관련된 많은 변경 사항과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들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를 찾을 것이다.PEP는 수백개가 넘을 정도로 그 수가 많다. PEP 0 을 참고하면 PEP가 쓸모 없는 단어는 아닌 것을 알 수 있다.https://peps.python.org PEP 0 – Index of Python Enhancement Proposals (PEPs) | peps.python.orgThis PEP contains the index of all Python Enhancement Proposals, known as PEPs. PEP numbers are assigned by the PEP editors, and once assigned a..

메타프로그래밍이란?메타프로그래밍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스스로의 코드나 다른 프로그램의 코드를 생성하거나 변경하는 프로그래밍 기법이다.파이썬에서는 코드가 실행되는 중에도 이러한 코드 변경이 일어날 수 있으며,데코레이터를 만들거나 연산자를 재정의할 때, 심지어 속성 프로토콜을 구현할 때 이러한 경험을 했을 수 있다.메타프로그래밍을 적극 활용하면 프로그래머는 솔루션을 표현하는 데 필요한 코드의 양을 최소화하여 개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나아가, 이 기술은 개발 도구를 만드는 데도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도구들을 코드에 적용함으로써 특정 프로그래밍 패턴을 따르도록 강제하거나, 일관된 API를 구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메타프로그래밍에서 메타클래스라는 개념이 있는데 아주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이다.Zen..

shelve 모듈 pickle 모듈은 객체를 단일 바이트 스트림으로 직렬화하는 데 사용된다.2025.06.26 - [Developer/Python] - [python] pickle 모듈을 이용한 객체 직렬화 [python] pickle 모듈을 이용한 객체 직렬화with open('hello.pickle','rb') as f: data = pickle.load(f)print(type(data))print(data)data()Serialization , Deserialization , Pickle이번 글은 나중에 사용하기 위해 Python 객체를 저장하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피클링(Picklinradaonmommy.tistory.com직렬화 및 역직렬화 모두 파일이나 데이터베이스 저장, 네트워크 전송되는..

with open('hello.pickle','rb') as f: data = pickle.load(f)print(type(data))print(data)data()Serialization , Deserialization , Pickle이번 글은 나중에 사용하기 위해 Python 객체를 저장하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피클링(Pickling)은 식품의 수명을 보존하거나 연장하는 과정이다.그 결과로 만들어진 음식을 피클(pickle)이라고 하고, 단어의 모호함을 피하기 위해, pickled 라는 형용사를 사용한다.데이터 처리 결과를 나중에 사용하기 위해 저장하는 것을 생각해 본 적 있을까 ?결과를 유지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일반 텍스트 파일을 생성하고 결과를 저장하는 것이다.이는 매우 간단한 방법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