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ration/Linux

리눅스 , 다중 사용자의 개념과 권한

단님 2025. 2. 3. 00:48
728x90
다중사용자(multi-user)

Microsoft window 운영체제는 pc라고 불리는 personal computer  즉 , 태생자체가 개인용 컴퓨터를 위해 만들어졌다.

지금은 다중 사용자도 쓸 수 있지만 그들이 동시에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한명의 사용자가 이용한 이후 그 사용자가 로그아웃 해야지만 다른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linux는 태생 자체가 다중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을 해서 사용 할 수 있는 환경을 고려하여 탄생하게 되었다.

리눅스의 태생이 유닉스 시스템 즉 , 서버운영 환경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이다.

Ctrl + Alt +F1 text 터미널 1
Ctrl + Alt + F2~6 text 터미널 2 ~6
Ctrl + ALt +F7 GUI 터미널 1

이를 활용하여 다중 사용자 접속창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권한

 

Microsoft window 에서는 나 자신이 내 관리자 이고 , 내 모든 것을 실행 시킬 수있다.

요즘엔 각종 보안 취약점으로 인해 가끔 프로그램들을 설치한다던가 또는 실행할 때 권한 상승에 대한 창이 뜨기는 하지만 , 마우스로 확인 버튼만 누른다면 그것을 다시 관리자의 권한으로 상승되어 명령을 수행하는 구조.

linux 는 명확하게 관리자와 사용자가 구분된다.

다수의 사용자가 있고 시스템 관리자가 있고 , 그 권한을 빌려 쓸 수 있는 사용자들이 있다.

시스템 관리자를 루트 관리자라고 부르고 안타깝게 사용자들이 이러한 차이점을 잘 인지하지 못하고 , 시스템의 운영이 어렵다 보니 자꾸 루트 사용자로 로그인하여 작업을 하는 실수를 범하게 된다.

그래서 ubuntu는 루트 사용자의 접속을 막아버렸고 , ubuntu에서는 기본적으로 루트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게 되어버렸다.

필요하다면 활성화 할 수 있지만 루트 사용자의 막강한 권한과 그 위험을 모른체 사용하게 되면서 , 루트 사용자를 막히도록 유발한 것이기 때문에 , 되도록 루트 사용자를 사용하지 않는 연습을 경험하는 것이 중요하다.

내 pc라고 내가 관리자라고 볼 수 없다.

나는 사용자이고 , 필요할때 관리자의 권한을 빌려서 사용하는 것이 리눅스의 기본 철학이라고 볼 수있다.

그것과 같이 나는 사용자이고 필요에 따라 커맨드를 통해 "sudo"를 쳐서( SuperUser do / Substitute User and do ) 관리자의 권한을 빌려 나의 패스워드로 인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sudo란 관리자의 권한을 빌려갈 수 있는 사용자 그룹을 의미한다.

그래서 리눅스 운영체제는 내 시스템 사용자 권한을

나(owner) 내가 속한 그룹(group) 그리고 나머지 사용자가 접근할 수있는 권한(other) 이렇게 크게 나눠진다.

 

 

SuperUser와 User

슈퍼 유저란 ? 시스템 운영 관리자 계정으로 일반적으로 리눅스 운영체제에서는 루트(root) 유저를 말한다.

관리자 권한을 일반 사용자 권한과 구분하며 사용자의 부주의로 발생하는 시스템 손상과 바이러스 , 악성 코드의 침입에 의한 피해를 보호한다

꼭 주의하여 사용해야하고 , 내가 주인인 나의 PC라도 내가 사용하는 그 PC의 사용자일뿐 관리자를 함부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고로 나는 슈퍼 유저 , root 유저가 아니다.

whoami # 내가 누구인지 내 계정 확인
id # 내가 갖고 있는 권한 (포함된 그룹 확인)

 

'Operation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사용자 정보 확인  (0) 2025.02.04
리눅스 , 권한 대여  (0) 2025.02.04
리눅스 운영체제(operation system)와 커널(kennel)  (0) 2025.02.02
Linux 란 ?  (0) 2025.02.01